한국 사회 내의 세대를 크게 산업화세대, 민주화세대, 그리고 탈성장세대로 나누어 이들의 상향의동의식과 계층귀속의식을 분석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계층귀속감과 구조적 요건은 긴밀히 연결되고 있으며, 시대적 변화양상이 각 세대들의 의식들의 변화 양상에 반영되고 있다는 점을 밝혔습니다.
2023년 9월 월례발표회 이지원 (미국 코넬대학교 인구센터 박사후연구원) 이 연구는 미국 대통령 선거의 투표율을 예제로 활용하여 연령, 시기 및 세대(영문 약어 APC) 분석의 두 새로운 방법, 즉 APC 상호 작용 모델(APC interaction model)과 APC 한계화 더보기…
2023년 8월 월례발표회 이주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차별에 대한 학술적 성과가 누적되고 있음에도, 차별이 차별 받는 사람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는 상대적으로 덜 주목 받은 것이 사실입니다. 한국사회에서 발생하는 차별의 가장 중요한 특성은 ‘능력’이 없다고 여겨지는 더보기…
2023년 7월 월례발표회 고호윤(카자흐스탄 Nazarbayev 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우리 사회에서는 2010년대 후반부터 ‘미투운동’ 등 젠더 문제와 관련한 여러 사건이 발생했는데요. 여성주의(feminism)와 세대 간 갈등이 정치권에서 득표를 위한 이슈로 이용되면서, 젠더와 세대 문제는 오늘날 한국 정치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