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회 내의 세대를 크게 산업화세대, 민주화세대, 그리고 탈성장세대로 나누어 이들의 상향의동의식과 계층귀속의식을 분석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계층귀속감과 구조적 요건은 긴밀히 연결되고 있으며, 시대적 변화양상이 각 세대들의 의식들의 변화 양상에 반영되고 있다는 점을 밝혔습니다.
2022년 5월 월례발표회 이연진(국민대 사회학과 교수) 한국은 유급노동에 종사하는 중·고령층의 평균 연령이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나라입니다. 본 연구는 이렇게 한국의 중·고령층이 노령 연금을 받을 수 있는 나이가 지나서도 노동시장에 남아있는 양상이 이들의 가족환경 더보기…
2022년 4월 월례발표회 김관욱(덕성여대 문화인류학과 교수) 본 연구는 코로나19 사태 동안 콜센터 상담사들의 노동 환경의 변화 및 이로 인한 영향을 다루는 것을 일차적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궁극적으로 코로나19 사태 속 상담사들의 건강이 콜센터의 매뉴얼과 더보기…
2022년 3월 월례발표회 김현수(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최 율(중앙대 사회학과 교수)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지역 환경이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2020년 4월부터 11월까지 21주에 걸쳐 150만 명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한 ‘US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