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평등과 복지 문제와 관련한 태도를 기준으로 한국인들을 크게 3집단으로 분류하였습니다. 여기에 사용된 RCA는 특정 사안에 대한 설문 응답자들의 성향을 응답 내용이 아닌 개별 응답 사이의 연결성을 기준으로 분류해, 특정 주제에 대해 사람들이 얼마나 체계적이고 일관되게 태도를 형성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는 연구방법입니다.
2023년 1월 월례발표회 권현지(서울대 사회학과 교수) 지난 30여 년간 한국의 노동시장구조는 크게 변화하였습니다. 직업구성 변화와 함께 노동시장 규범 역시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데요. 이러한 변화의 핵심에 청년세대의 전문직화가 있습니다. 즉, 제조업 생산직의 퇴조와 지식, 창의, 돌봄 더보기…
2022년 11월 월례발표회 김란우(KAIST 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 교수) 여성과 남성은 종종 서로 다른 방식으로 연구 지식 생산에 기여합니다. 이러한 기여 방식의 다름이 학계 경력의 차이로 이어질 수 있을까요? 본 연구는 어떻게 젠더가 연구 언어에서 표현되는지, 그리고 젠더화된 더보기…
2022년 10월 월례발표회 유삼현(한양대 사회학과 교수) 1990년도 초반부터 한국에서 전체 인구 중 이민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증가해왔습니다. 이민자의 출산율은 인구 변화의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는데요. 하지만 이러한 한국 내 이민자의 출산율에 관한 자료는 찾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