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평등과 복지 문제와 관련한 태도를 기준으로 한국인들을 크게 3집단으로 분류하였습니다. 여기에 사용된 RCA는 특정 사안에 대한 설문 응답자들의 성향을 응답 내용이 아닌 개별 응답 사이의 연결성을 기준으로 분류해, 특정 주제에 대해 사람들이 얼마나 체계적이고 일관되게 태도를 형성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는 연구방법입니다.
2023년 5월 월례발표회 임영신(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선임연구원)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 한국 사회의 가족해체 양상이 계층과 가족 규범에 따라 어떻게 바뀌어 왔는지 살펴보았습니다. 통계청 ‘사회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가족해체를 경험한 응답자의 비율이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집단을 더보기…
2023년 4월 월례발표회 계봉오(국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이 연구는 초저출산 상황에서 소득과 출산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 틀을 모색하고 경험적 분석을 통해서 그 함의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출산력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2000년 이후 한국의 더보기…
2023년 3월 월례발표회 한신원(미국 코넬대학교 박사후연구원) 정치적 진보 성향을 지닌 사람들이 보수주의자들보다 출산을 더 기피할까요? 100년 만의 최저 출산율을 기록하고 있는 미국의 경우 출산율 감소가 어떤 집단에 의해 추동되는지를 둘러싼 정치적, 사회적 논쟁이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