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평등과 복지 문제와 관련한 태도를 기준으로 한국인들을 크게 3집단으로 분류하였습니다. 여기에 사용된 RCA는 특정 사안에 대한 설문 응답자들의 성향을 응답 내용이 아닌 개별 응답 사이의 연결성을 기준으로 분류해, 특정 주제에 대해 사람들이 얼마나 체계적이고 일관되게 태도를 형성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는 연구방법입니다.
2025년 6월 월례발표회 문수연&신광영 (중앙대) 이 논문은 한국의 불평등과 빈곤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1인 가구의 증가가 가구소득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청 가계금융복지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합니다. 우선, 생애과정에서 1인 가구 유형과 원인도 다양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더보기…
2025년 5월 월례발표회 변수용 (펜실베니아 주립대) 전학은 미국 학생들에게 흔히 나타나는 현상이지만, 이는 학업 성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비서구권 국가에서의 전학과 그 결과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알려진 바가 적습니다. 본 연구는 한국 초등학생을 더보기…
2025년 4월 월례발표회 정호용 (서울대 행정대학원) 한국에서 지속되고 있는 서울 중심 집중 현상 속에서, 본 연구는 초기 노동시장에 진입한 ‘인서울 대학’ 졸업자들의 임금 격차를 분석합니다. 서울 소재 대학 졸업자는 대학수학능력시험(CSAT) 점수 등 개별 학생의 역량을 통제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