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 월례발표회
김창환 (University of Kansas)
아시아계 미국인에 대한 이미지는 동화될 수 없는 이방인에서 모델 마이너리티로 변화해 왔으며, 최근 연구는 전략적 적응이 그들의 성공을 이끄는 핵심 메커니즘으로 제안되었습니다.
그러나 전략적 적응의 기원과 발전 과정, 그리고 아시아계 미국인의 사회경제적 지위 변화와의 관계를 탐구한 연구는 많지 않습니다.
본 연구는 전략적 적응 이론을 교육과 노동시장의 구성효과 뿐만 아니라 문화와 결부된 교육 수익률의 인종간 이질성을 포괄하여 발전시키고, 1940년부터 2018~2022년까지의 센서스, 미국지역사회조사(ACS), 그리고 현재인구조사(CPS)를 활용하여 역사적 변화를 추적합니다.
연구 결과는 아시아계 미국인의 (불)이익이 역사적으로 상당한 변화를 겪어 왔음을 보여줍니다. 이 변화는 여러 차례의 질적 전환과 지속적인 양적 변화를 포함하는 “연속적 진화”라는 개념으로 정의될 수 있습니다.
1940년대에는 아시아계 미국인이 백인보다 낮은 교육수익률을 경험했으나, 21세기에 접어들면서 더 높은 수익률을 누리게 되었습니다. 전략적 적응은 아시아계 이민자에서 먼저 시작되었고, 이후 2세대로 확산되었으나, 3세대 이상에서는 그런 전략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본 연구는 전략적 적응이 없을 경우 아시아계 미국인은 여전히 백인보다 소득이 히스패닉계 정도로 낮다는 것을 보여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