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대 간 사회이동성이 가족구성과 출산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 사례

2025년 9월 월례발표회 이도훈 (서울대) 세대 간 사회이동성은 가족구성과 출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까요? 본 연구는 (1) 상대적 사회이동성과 절대적 사회이동성을 구분하고; (2) 세대 간 사회이동성을 개인 수준의 경험을 넘어서는 사회적 맥락의 핵심 요인으로 개념화하며; (3) 상대적 사회이동성과 절대적 사회이동성의 역할에 대한 상이한 이론적 관점들을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패널 더보기…

글쓴이 KIRN,

1인 가구 증가와 가구 소득 불평등

2025년 6월 월례발표회 문수연&신광영 (중앙대) 이 논문은 한국의 불평등과 빈곤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1인 가구의 증가가 가구소득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청 가계금융복지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합니다. 우선, 생애과정에서 1인 가구 유형과 원인도 다양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미/비혼 1인 가구, 이혼 1인 가구, 사별 1인 가구로 유형을 구분하여 요인을 분석한 결과, 1인 더보기…

글쓴이 KIRN,

표준화된 교육 체제에서의 전학과 학업 성취: 한국 초등학생 사례

2025년 5월 월례발표회 변수용 (펜실베니아 주립대) 전학은 미국 학생들에게 흔히 나타나는 현상이지만, 이는 학업 성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비서구권 국가에서의 전학과 그 결과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알려진 바가 적습니다. 본 연구는 한국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전학의 결정 요인과 학업성취에 대한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기존 연구를 확장하고자 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전국을 더보기…

글쓴이 KIRN,

인서울 대학의 임금 프리미엄에 관한 연구

2025년 4월 월례발표회 정호용 (서울대 행정대학원) 한국에서 지속되고 있는 서울 중심 집중 현상 속에서, 본 연구는 초기 노동시장에 진입한 ‘인서울 대학’ 졸업자들의 임금 격차를 분석합니다. 서울 소재 대학 졸업자는 대학수학능력시험(CSAT) 점수 등 개별 학생의 역량을 통제한 이후에도, 지역 소재 대학 졸업자보다 평균 약 8% 높은 임금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격차는 더보기…

글쓴이 KIRN,

증가하는 불이익에서 전략적 적응으로: 아시아계 미국인 남성 사회경제적 지위의 연속진화적 변화, 1940~2018-22

2025년 3월 월례발표회 김창환 (University of Kansas) 아시아계 미국인에 대한 이미지는 동화될 수 없는 이방인에서 모델 마이너리티로 변화해 왔으며, 최근 연구는 전략적 적응이 그들의 성공을 이끄는 핵심 메커니즘으로 제안되었습니다. 그러나 전략적 적응의 기원과 발전 과정, 그리고 아시아계 미국인의 사회경제적 지위 변화와의 관계를 탐구한 연구는 많지 않습니다. 본 연구는 전략적 적응 더보기…

글쓴이 KI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