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논문] 가구구조와 소득불평등

김창민, 김은경, 신광영(이상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가구구조가 크게 변하고 있다. 가구 변화가 소득불평등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까? 인구고령화와 가족의 변화(1인 가구의 증가, 맞벌이 가구 증가)가 가구소득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이 논문은 2007년과 2017년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가구 속성(가구형태,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가구원 수, 주당 가구 총근로시간, 부부 총 교육연수)이 더보기…

글쓴이 KIRN,

[신규논문] A New Approach to Social Inequality: Inequality of Income and Wealth in South Korea (사회불평등에 대한 새로운 접근: 한국의 소득 및 재산 불평등)

신광영(중앙대학교 사회학과) 이 논문은 사회적 불평등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제시한다. 기존 사회과학 내 불평등 연구들은 경제활동을 하는 개인을 분석 단위로 하여, 학력과 직업을 중심으로 연구해 왔다. 본 연구는 이런 기존 사회학이나 노동경제학의 불평등 연구 한계를 지적했다. 직업 활동의 결과인 소득과 자산이 사회 불평등 연구 대상으로 다루어져야 하며, 개인이 아니라 가구가 더보기…

글쓴이 KIRN,

[신규논문] 여성의 고학력화와 결혼시장 미스매치 가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

계봉오(국민대 사회학과), 고원태(연세대 사회학과), 김영미(연세대 사회학과) 한국사회에서 혼인시기는 지속적으로 늦춰지고 있으며, 평생 비혼자의 비율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만혼 및 비혼의 증가의 원인으로 많이 지적되는 것은 여성의 고학력화로 인한 결혼시장 미스매치이다. 남편의 교육수준이 부인보다 높은 경우가 반대 경우보다 많은데, 이 때 고학력 여성은 결혼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결혼시장 미스매치 더보기…

글쓴이 KIRN,

[INQ] 여성 경찰의 비중을 늘리면 법 집행이 성평등해질 수 있을까?

2018년 5월 혜화역 인근에서 시작된 ‘불법촬영 편파수사 규탄시위’는 도합 30만 명의 여성을 결집시켜 전례 없는 규모의 여성의제 시위로 기록되었습니다. 총 여섯 차례에 걸친 시위는 한 남성 누드 모델을 촬영해 온라인에 사진을 게시한 여성이 열흘만에 구속된 것을 계기로 촉발되었습니다. 참여자들은 여성을 대상으로 한 불법촬영 범죄에 대해서는 위의 사건에서 드러난 것만큼 경찰의 더보기…

글쓴이 KIRN,

사례로 본 코로나19가 여성 노동자에게 미친 영향

2020년 12월 월례발표회 윤지영(공익인권법재단 공감 변호사) 민간노동단체 ‘직장 갑질119’ 상담 사례를 통해, 코로나19로 우리나라 여성 노동자들의 노동 환경이 어떻게 변하였는지를 살펴보았습니다. 발표자는 최근 실직과 임금 삭감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여성 노동자와의 상담 사례를 소개하며,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에 여성 임금 노동자가 남성보다 더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 원인으로 발표자는 여성 더보기…

글쓴이 KI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