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녀 간 정치적 태도의 차이는 청년세대에서 변화하고 있는가? 2021년과 2022년 한국 설문자료에 담긴 권위주의 태도 분석

2022년 9월 월례발표회 장한일(국민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본 연구는 2021년과 2022년에 조사된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성별에 따른 권위주의 태도의 차이를 청년세대와 장년세대 간에 비교합니다. 분석 결과 두 자료 모두에서 청년세대의 남녀 간 권위주의 태도의 차이가 장년세대의 그것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변화와 관련하여 선행연구들은 여성의 증가된 노동시장 참여, 싱글 비율 증가, 더보기…

글쓴이 KIRN,

저출산 추세의 코호트 분석

2022년 6월 월례발표회 황지수(서울대 자유전공학부(경제학) 교수) 본 연구는 여성의 코호트별 분석을 통해 한국 저출산 추세의 양상을 규명하였습니다. 인구주택총조사와 인구동향조사를 이용하여 1950~80년대에 태어난 코호트의 출산 결정 intensive margin(출산 시기, 자녀 수)와 extensive margin(결혼 여부, 출산 여부)를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세 가지 유의한 패턴을 확인하였습니다. 첫 번째, 출산율 저하의 주요 동인이 코호트에 더보기…

글쓴이 KIRN,

한국에서 교육 기회는 점점 더 불평등해져 왔는가?(II): 가족배경에 따른 자녀 학업성취도 격차의 출생 코호트 추세

2021년 6월 월례발표회 최성수(연세대 사회학과 교수)·임영신(서울대 교육학과 박사과정) 한국 초, 중, 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에서 나타나는 가족배경에 따른 불평등은 그 동안 어떻게 변해왔을까요?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총 11개의 전국적 대표성이 있는 조사자료들을 바탕으로 1950년대 출생자부터 2008년 출생자까지 약 27만여명의 가족배경과 학업성취도 정보를 가진 응답자들을 포괄하는 데이터를 구성했습니다. 한국에서 학업성취도 정보를 담아 더보기…

글쓴이 KIRN,

세대 불평등은 증가하였는가?

2020년 8월 월례발표회 김창환(캔자스대 사회학과 교수) · 김태호(캔자스대 사회학과 박사과정) 가계동향조사 1999~2019년 자료를 이용해 세대 간 소득 불평등이 한국 사회 불평등의 중심축이 되고 있다는 논의를 검증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소득 불평등과 관련된 요소의 순(계수) 효과와 분포 효과를 구분하고, 가구주와 배우자의 소득뿐만 아니라 기타 가구 구성원의 소득도 추정해 분석하였습니다. 노인 비율이 늘어나고, 부모와 더보기…

글쓴이 KIRN,

세대 간 자산 이전과 세대 내 불평등의 증대, 1990-2016

2018년 10월 월례발표회 이철승(서강대 사회학과 교수) 본 연구는 1990-2016년도 ‘가계동향조사’를 이용해 한국 사회에서 자산 불평등이 형성되어 온 과정을 분석하였습니다. 분석 결과 1930-40년대와 1970-80년대 출생 코호트의 세대 내 자산 불평등이 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배경으로 본 연구는 1970-80년대 ‘부동산 투자 붐’에 주목합니다. 부동산 가격이 폭등하던 당시 40대였던 1930-40년대 출생 코호트의 더보기…

글쓴이 KI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