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와 사회적자본: 혼합방법론을 사용한 지역 간 차이 연구

2024년 6월 월례발표회 권다은 (KDI국제정책대학원 인구정책연구실 박사) 본 연구는 한국의 두 도시 서울과 세종에서 육아 관련 사회 연결망이 어떻게 형성되어 있는지를 혼합방법론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습니다. 영유아를 키우는 가정의 육아 경험에 사회 연결망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추정되지만, 출산율이 매우 낮은 국가인 한국에서 정작 육아 관련 사회 연결망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더보기…

글쓴이 KIRN,

커리어 그리고 출산: 첫째 아이 출산 후 미국 남성의 가사 노동과 여성의 일-가정 결정

2024년 5월 월례발표회 권오재 (미국 하버드대 사회학과 박사과정) 근래 “젠더 혁명” 논의에서는 맞벌이 부모들이 겪는 일-가정 양립의 어려움이 젠더 불평등의 주요 원인이라 지적하며, 어머니들이 커리어를 추구하는 동시에 원하는 만큼 자녀를 가질 수 있을 때 비로소 혁명의 단초가 마련된다고 주장합니다. 남성의 집안일은 이를 위한 가장 중요한 기반 중 하나로 이론화됩니다. 그렇지만 더보기…

글쓴이 KIRN,

가구소득 수준과 유배우 출산율, 2000-2021

2023년 4월 월례발표회 계봉오(국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이 연구는 초저출산 상황에서 소득과 출산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 틀을 모색하고 경험적 분석을 통해서 그 함의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출산력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2000년 이후 한국의 가구소득 수준에 따른 유배우 출산율 및 추가출산의향 변화를 분석했는데요, 특히 결혼시기 지연에 따른 템포 효과의 더보기…

글쓴이 KIRN,

정치적 성향에 따른 출산 지향성 차이에 대한 연구

2023년 3월 월례발표회 한신원(미국 코넬대학교 박사후연구원) 정치적 진보 성향을 지닌 사람들이 보수주의자들보다 출산을 더 기피할까요? 100년 만의 최저 출산율을 기록하고 있는 미국의 경우 출산율 감소가 어떤 집단에 의해 추동되는지를 둘러싼 정치적, 사회적 논쟁이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그 논쟁들 중 하나인 “진보‧보수 간 출산 지향성 격차(the political fertility gap thesis)”를 더보기…

글쓴이 KIRN,

해외출생인구의 출산력 수준

2022년 10월 월례발표회 유삼현(한양대 사회학과 교수) 1990년도 초반부터 한국에서 전체 인구 중 이민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증가해왔습니다. 이민자의 출산율은 인구 변화의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는데요. 하지만 이러한 한국 내 이민자의 출산율에 관한 자료는 찾기 힘든 상황입니다. 본 연구는 2006년~2020년 한국 내 이민자의 출산율 변화 양상과 수준을 추정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더보기…

글쓴이 KI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