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평등에 대한 경제적 반발이 청년 남성의 반민주주의 태도를 조장한다: 12월 3일 한국에서 선포된 계엄령에 대한 지지태도 분석

2025년 10월 월례발표회 장한일 (국민대) 이 연구는 경제적 어려움이 반민주주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젠더 박탈감이라는 경로를 통해서 성별과 세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이론을 제시합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민주주의가 양성평등을 증진시키면서 젊은 여성의 노동 시장 진입이 증가하게 되고, 젊은 남성의 경우 중년 남성이 젊은 시절 누렸던 노동 시장 특권을 박탈당하게 되면서 더보기…

글쓴이 KIRN,

세대 간 사회이동성이 가족구성과 출산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 사례

2025년 9월 월례발표회 이도훈 (서울대) 세대 간 사회이동성은 가족구성과 출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까요? 본 연구는 (1) 상대적 사회이동성과 절대적 사회이동성을 구분하고; (2) 세대 간 사회이동성을 개인 수준의 경험을 넘어서는 사회적 맥락의 핵심 요인으로 개념화하며; (3) 상대적 사회이동성과 절대적 사회이동성의 역할에 대한 상이한 이론적 관점들을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패널 더보기…

글쓴이 KIRN,

표준화된 교육 체제에서의 전학과 학업 성취: 한국 초등학생 사례

2025년 5월 월례발표회 변수용 (펜실베니아 주립대) 전학은 미국 학생들에게 흔히 나타나는 현상이지만, 이는 학업 성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비서구권 국가에서의 전학과 그 결과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알려진 바가 적습니다. 본 연구는 한국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전학의 결정 요인과 학업성취에 대한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기존 연구를 확장하고자 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전국을 더보기…

글쓴이 KIRN,

증가하는 불이익에서 전략적 적응으로: 아시아계 미국인 남성 사회경제적 지위의 연속진화적 변화, 1940~2018-22

2025년 3월 월례발표회 김창환 (University of Kansas) 아시아계 미국인에 대한 이미지는 동화될 수 없는 이방인에서 모델 마이너리티로 변화해 왔으며, 최근 연구는 전략적 적응이 그들의 성공을 이끄는 핵심 메커니즘으로 제안되었습니다. 그러나 전략적 적응의 기원과 발전 과정, 그리고 아시아계 미국인의 사회경제적 지위 변화와의 관계를 탐구한 연구는 많지 않습니다. 본 연구는 전략적 적응 더보기…

글쓴이 KIRN,

능력주의 다양성과 불평등 관련 태도 분석

2025년 1월 월례발표회 임동균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능력주의로 인해 불평등이 강화되거나 정당화되고, 그에 따라 승자독식의 체제가 공고화된다는 주장 및 연구들이 그동안 다수 제시되었습니다. 아울러 능력주의의 부상으로 인해 개인들이 협소한 의미의 공정성에 집착한다는 비판 또한 자주 제기되었습니다. 그런데 능력주의 또는 능력주의에 대한 인식 및 믿음은 매우 다면적 측면을 가지고 있고, 따라서 각각의 더보기…

글쓴이 KI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