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력주의 다양성과 불평등 관련 태도 분석

2025년 1월 월례발표회 임동균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능력주의로 인해 불평등이 강화되거나 정당화되고, 그에 따라 승자독식의 체제가 공고화된다는 주장 및 연구들이 그동안 다수 제시되었습니다. 아울러 능력주의의 부상으로 인해 개인들이 협소한 의미의 공정성에 집착한다는 비판 또한 자주 제기되었습니다. 그런데 능력주의 또는 능력주의에 대한 인식 및 믿음은 매우 다면적 측면을 가지고 있고, 따라서 각각의 더보기…

글쓴이 KIRN,

누가 혼전임신을 경험하는가?: 사회경제적 배경과 자녀의 초기 발달 궤적

2024년 11월 월례발표회 고원태 (연세대학교 CLIO사회발전연구소) 이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혼전 임신이 계층에 따른 차별적 인구행동일 가능성을 탐색하고, 이것이 세대간 불평등을 재생산하는 경로로 작동하는지를 분석합니다. 한국아동패널자료를 활용한 분석 결과, 혼전 임신은 저학력, 저소득 집단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존 연구들을 뒷받침합니다. 그러나 서구와는 달리, 혼전 임신이 자녀의 인지 더보기…

글쓴이 KIRN,

불평등 이데올로기 : 수저계급사회에 던지는 20가지 질문

2024년 9월 초 월례발표회 조돈문 (한국비정규노동센터 이사장) 피케티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산수익률이 항상 국민소득 성장률보다 높기 때문에 불평등이 심화되는 추세를 피할 수 없다고 설명합니다. 모든 자본주의 사회는 대체로 최상위 10%가 제 몫 이상을 버는 반면, 중하위 70%는 자신의 몫보다 적게 법니다. 왜, 어떻게, 소수만 혜택을 누리고 다수를 피해자로 만드는 불평등 체제가 더보기…

글쓴이 KIRN,

세대 간 지역이동 및 사회이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2024년 4월 월례발표회 이근복 (경기연구원 인구영향평가센터 연구위원) 최근 한국 사회가 더 이상 부모 세대보다 나은 사회경제적 성취를 이루기 힘든 사회라는 인식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기회의 불평등이 고착되고 부모의 지원 없이는 성공하기 힘들다는 자괴감과 무력감은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를 낮출 수 있는데요. 이렇게 부모와 자녀 세대에 걸친 세대 간 사회이동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더보기…

글쓴이 KIRN,

세대 간 시간 자원의 이전은 불평등한가? 부모가 성인 자녀의 자녀 보육에 제공하는 지원의 가족 내, 가족 간 불평등 분석

2024년 3월 월례발표회 인 정 (덴마크 코펜하겐대학교 사회학과 박사후연구원) 젊은 세대의 맞벌이 증가에 따라 발생하는 보육의 공백을 조부모가 상당 부분 메우는 현상은 전 세계적으로 관찰되며, 이러한 부모의 지원은 성인 자녀의 주요 생애 사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성인 자녀에 대한 부모의 시간 지원의 중요성과 이 자원의 유한성은 가족 내 더보기…

글쓴이 KI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