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월례발표회
‘무작정 상경’: 서울 이주자에 관한 담론과 젠더
2017년 4월 월례발표회 박정미(한양대 비교역사문화연구소 HK연구교수) 1950년대 말부터 1980년대 초까지 유행했던 ‘무작정 상경’ 담론에 담긴 차별적 젠더 재생산에 관한 내용을 분석하였습니다. 무작정 상경자 판별의 주요 기준으로 성별과 연령이 남성과 여성 각각을 어떠한 존재로 구성하였는지 다뤘습니다.
지난 월례발표회
고용보험 모성보호제도의 고용유지효과 분석
2017년 3월 월례발표회 이성균(울산대 사회학과 교수) 한국고용정보원 고용보험 DB(전수조사된 행정자료)를 바탕으로 여성 노동자의 고용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제도의 효과를 밝혀냈습니다.
지난 월례발표회
서비스노동에서의 젠더화된 신체성 & 노동을 젠더화하기: 화장품 행사도우미의 판촉노동 사례연구
2017년 2월 월례발표회 서비스노동에서의 젠더화된 신체성: 특급호텔 호텔리어의 심미노동 연구 심선희(서울대 여성학협동과정 박사) 서비스 직업군에 종사하는 여성 노동자들의 젠더화된 노동 행위를 질적 연구를 통해 밝혀냈습니다. 노동을 젠더화하기: 화장품 행사도우미의 판촉노동 사례연구 이은지(연세대 사회학과 석사)
연구동향
[INQ] 젠더와 노동시장 그 복합성의 탐색
[분포적 접근으로 본 한국 성별임금격차 변화, 1982 ~ 2004년] 김영미, 2009 현대 불평등 구조의 다층성의 양상 중 하나는 경제적 불평등의 증가와 젠더 임금 격차의 양상이 맞물린다는 것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크게 두 가지 가설이 있는데, 하나는 신고전주의 경제학의 시장합리성 가설과 또 하나는 계급편향적 고용체제 변화 가설입니다. 두 가설 모두 임금격차가 결국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