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작정 상경’: 서울 이주자에 관한 담론과 젠더
지난 월례발표회

‘무작정 상경’: 서울 이주자에 관한 담론과 젠더

2017년 4월 월례발표회 박정미(한양대 비교역사문화연구소 HK연구교수) 1950년대 말부터 1980년대 초까지 유행했던 '무작정 상경' 담론에 담긴 차별적 젠더 재생산에 관한 내용을...
Read More
고용보험 모성보호제도의 고용유지효과 분석
지난 월례발표회

고용보험 모성보호제도의 고용유지효과 분석

2017년 3월 월례발표회 이성균(울산대 사회학과 교수) 한국고용정보원 고용보험 DB(전수조사된 행정자료)를 바탕으로 여성 노동자의 고용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제도의 효과를 밝혀냈습니다.
Read More
서비스노동에서의 젠더화된 신체성 & 노동을 젠더화하기: 화장품 행사도우미의 판촉노동 사례연구
지난 월례발표회

서비스노동에서의 젠더화된 신체성 & 노동을 젠더화하기: 화장품 행사도우미의 판촉노동 사례연구

2017년 2월 월례발표회 서비스노동에서의 젠더화된 신체성: 특급호텔 호텔리어의 심미노동 연구 심선희(서울대 여성학협동과정 박사) 서비스 직업군에 종사하는 여성 노동자들의 젠더화된 노동...
Read More
한국사회의 계급의식 유형화 과정
지난 월례발표회

한국사회의 계급의식 유형화 과정

2017년 1월 월례발표회 이왕원(고려대 사회학과 박사) 한국 사회 내의 세대를 크게 산업화세대, 민주화세대, 그리고 탈성장세대로 나누어 이들의 상향의동의식과 계층귀속의식을 분석하였습니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