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도 월례발표회

2008년 1월 18일 발표1: 김지경(국민연금관리공단 국민연금연구원) 발표2: 김위정(연세대 사회학과 박사과정), 이가람(연세대 사회학과 석사과정)   2008년 2월 15일 우리나라 건강 불평등의 현황과 과제 김영호(울산대 의대)   2008년 3월 22일 저소득 노동시장의 실태와 동태젹 변화 이병희(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 주택정책과 주거불평등 장세훈(동아대 사회학과 교수)   2008년 4월 12일 한국의 계급과 교육 불평등 신광영(중앙대 사회학과 더보기…

글쓴이 KIRN,

2007년도 월례발표회

2007년 1월 불평등연구회 방향 설정(준비모임)   2007년 2월 불평등 연구회 공식 첫 모임   2007년 3월 불평등연구 관련 각종 데이터 소개   2007년 4월 27일 “한국 계급불평등의 구조변동” 김영미(중앙대 사회학과 박사후 연구원) 한준(연세대 사회학과 교수)   2007년 5월 25일 “계급이동과 사회이동” 신광영(중앙대 사회학과)   2007년 8월 17일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와 더보기…

글쓴이 KIRN,

[INQ] 과연 한국교육은 모두가 동등하게 받을 수 있게 보편화되었는가?

When Different Types of Education Matter: Effectively Maintained In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in Korea Soo-yong Byun, Hyunjoon Park   한국 학생이 중학교에서 고등학교, 그리고 대학으로의 진학 선택에 있어서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 즉 학력, 가구소득, 그리고 자택 소유여부 등 3가지 변수에 따라서 차이가 있을까요? 안타깝게도 차이가 있었습니다. 중학교의 학업성적과 성별을 통계적으로 더보기…

글쓴이 KIRN,

[INQ] 함정의 비정규직은 어떻게 나타나게 되었을까?

한국은 1997년에 IMF 외환위기를 경험하면서 비정규직이 급증했습니다. 대부분의 연구들은 이러한 비정규직의 증가를 기업의 비용 절감 차원에서 설명하나, 이용수(2009)는 조직이론에 입각하여 이와 같은 주장을 검토합니다. 사업체 패널 데이터를 통해 비정규직 고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살펴본 결과, 예상했던 바와 같이 시장 전체적으로 봤을 때 이직률을 통해 계산한 고용변동성이 클 경우 비정규직의 수는 더보기…

글쓴이 KIRN,

[INQ] 젠더와 노동시장 그 복합성의 탐색

[분포적 접근으로 본 한국 성별임금격차 변화, 1982 ~ 2004년] 김영미, 2009 현대 불평등 구조의 다층성의 양상 중 하나는 경제적 불평등의 증가와 젠더 임금 격차의 양상이 맞물린다는 것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크게 두 가지 가설이 있는데, 하나는 신고전주의 경제학의 시장합리성 가설과 또 하나는 계급편향적 고용체제 변화 가설입니다. 두 가설 모두 임금격차가 결국 더보기…

글쓴이 KI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