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논문] A New Approach to Social Inequality: Inequality of Income and Wealth in South Korea (사회불평등에 대한 새로운 접근: 한국의 소득 및 재산 불평등)

신광영(중앙대학교 사회학과) 이 논문은 사회적 불평등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제시한다. 기존 사회과학 내 불평등 연구들은 경제활동을 하는 개인을 분석 단위로 하여, 학력과 직업을 중심으로 연구해 왔다. 본 연구는 이런 기존 사회학이나 노동경제학의 불평등 연구 한계를 지적했다. 직업 활동의 결과인 소득과 자산이 사회 불평등 연구 대상으로 다루어져야 하며, 개인이 아니라 가구가 더보기…

글쓴이 KIRN,

[신규논문] 여성의 고학력화와 결혼시장 미스매치 가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

계봉오(국민대 사회학과), 고원태(연세대 사회학과), 김영미(연세대 사회학과) 한국사회에서 혼인시기는 지속적으로 늦춰지고 있으며, 평생 비혼자의 비율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만혼 및 비혼의 증가의 원인으로 많이 지적되는 것은 여성의 고학력화로 인한 결혼시장 미스매치이다. 남편의 교육수준이 부인보다 높은 경우가 반대 경우보다 많은데, 이 때 고학력 여성은 결혼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결혼시장 미스매치 더보기…

글쓴이 KIRN,

[INQ] 여성 경찰의 비중을 늘리면 법 집행이 성평등해질 수 있을까?

2018년 5월 혜화역 인근에서 시작된 ‘불법촬영 편파수사 규탄시위’는 도합 30만 명의 여성을 결집시켜 전례 없는 규모의 여성의제 시위로 기록되었습니다. 총 여섯 차례에 걸친 시위는 한 남성 누드 모델을 촬영해 온라인에 사진을 게시한 여성이 열흘만에 구속된 것을 계기로 촉발되었습니다. 참여자들은 여성을 대상으로 한 불법촬영 범죄에 대해서는 위의 사건에서 드러난 것만큼 경찰의 더보기…

글쓴이 KIRN,

[INQ] 부부 가사노동 분담, 무엇이 문제인가?

가족은 사회의 기본 단위이자 구성원 간 영향을 많이 주고받는 공동체 중 하나입니다. 가족이 생활하는 모습에서 우리 사회의 단면을 볼 수 있는데요,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집안일의 주된 책임자를 여성으로 여기는 가부장적 문화가 아닐까 합니다. 고용노동부(2017)가 OECD 통계와 2014년도 한국노동패널조사를 분석한 바에 따르면, 우리나라 남성의 가사분담률은 16.5%로 통계 산출 OECD 26개국 더보기…

글쓴이 KIRN,

[INQ] 오늘 한국 여성의 삶은 과거보다 행복할까요?

우리 사회는 비혼·만혼 인구의 증가와 출산율 감소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2000년 26.5세였던 여성의 평균 초혼 나이는 2018년 30.4세로 높아졌고, 1990년 1.57명이던 합계출산율은 2018년 0.98명으로 처음으로 1명 미만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오늘 소개할 김이선·박경숙(2019)의 연구는 이러한 현상의 배경으로 취업이나 결혼·출산에서 여성이 겪는 어려움에 주목해 2016년 한국 여성의 생애 유형을 분석하였습니다. 본 연구는 오늘날 더보기…

글쓴이 KI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