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대 불평등은 증가하였는가?

2020년 8월 월례발표회 김창환(캔자스대 사회학과 교수) · 김태호(캔자스대 사회학과 박사과정) 가계동향조사 1999~2019년 자료를 이용해 세대 간 소득 불평등이 한국 사회 불평등의 중심축이 되고 있다는 논의를 검증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소득 불평등과 관련된 요소의 순(계수) 효과와 분포 효과를 구분하고, 가구주와 배우자의 소득뿐만 아니라 기타 가구 구성원의 소득도 추정해 분석하였습니다. 노인 비율이 늘어나고, 부모와 더보기…

글쓴이 KIRN,

무엇이 여성의 정신건강을 해치는가? 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과 주관적 안녕

2020년 5월 월례발표회 이민아(중앙대 사회학과 교수) 2016년 한국종합사회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인의 주관적 안녕이 성별, 범죄 피해에 대한 두려움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다변량 회귀분석 방법으로 연구하였습니다. 분석 결과, 범죄 피해에 대한 두려움을 많이 느낄수록 주관적 안녕의 수준이 낮으며, 이러한 범죄 피해에 대한 두려움은 여성이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주관적 안녕이 범죄 더보기…

글쓴이 KIRN,

한국 국가의 조세·분배 역량의 구조변동, 1965~2017: 역진적 발전국가에서 혼종형 복지국가로

2020년 4월 월례발표회 신진욱(중앙대 사회학과 교수) 경제적 불평등이 최근 많은 선진 산업 국가에서 주요 사회 문제로 대두되면서, 이를 완화할 수 있는 국가 조세·분배 역량이 주목 받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국가 조세·분배 역량이 군사독재 정권 시기인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분석하였습니다. 그리고 한국 국가의 조세·분배 역량은 다른 OECD 국가와 더보기…

글쓴이 KIRN,

불평등 연구의 새로운 접근

2020년 1월 월례발표회 신광영(중앙대 사회학과 교수) 세계화와 기술발전, 저출산과 고령화, 1인가구의 증가 등 여러 변화를 겪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 기존 사회학 연구 틀만으로는 계층·계급 불평등을 분석하는 데 한계가 있음을 논하였습니다. 그 대표적 예로 한국의 계층·계급 불평등 연구에서 ‘취업자 개인 소득’이 주요 분석대상이 되어 온 점을 지적합니다. 불평등 정도가 소득보다 높은 ‘자산’에 대해서는 더보기…

글쓴이 KIRN,

저출산 시대의 형제자매 수와 교육: 26개 국가의 코호트 추세 분석

2019년 11월 월례발표회 최성수(연세대 사회학과 교수) 26개 저출산 국가에서 취합한 1910년대~1980년대 출생 코호트 자료인 ISEAD(International Sibsize and Educational Attainment Database)를 바탕으로, 학업성취수준과 형제자매 수의 연관성이 국가와 출생코호트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분석하였습니다. 분석 결과 조사대상 26개 국가 중 16개 국가에서 최근 출생 코호트로 올수록 최종학력과 형제자매 수가 부정적으로 관련되는 정도가 통계적으로 더보기…

글쓴이 KI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