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대 불평등은 증가하였는가?

2020년 8월 월례발표회 김창환(캔자스대 사회학과 교수) · 김태호(캔자스대 사회학과 박사과정) 가계동향조사 1999~2019년 자료를 이용해 세대 간 소득 불평등이 한국 사회 불평등의 중심축이 되고 있다는 논의를 검증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소득 불평등과 관련된 요소의 순(계수) 효과와 분포 효과를 구분하고, 가구주와 배우자의 소득뿐만 아니라 기타 가구 구성원의 소득도 추정해 분석하였습니다. 노인 비율이 늘어나고, 부모와 더보기…

글쓴이 KIRN,

한국 국가의 조세·분배 역량의 구조변동, 1965~2017: 역진적 발전국가에서 혼종형 복지국가로

2020년 4월 월례발표회 신진욱(중앙대 사회학과 교수) 경제적 불평등이 최근 많은 선진 산업 국가에서 주요 사회 문제로 대두되면서, 이를 완화할 수 있는 국가 조세·분배 역량이 주목 받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국가 조세·분배 역량이 군사독재 정권 시기인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분석하였습니다. 그리고 한국 국가의 조세·분배 역량은 다른 OECD 국가와 더보기…

글쓴이 KIRN,

[INQ] 오늘 한국 여성의 삶은 과거보다 행복할까요?

우리 사회는 비혼·만혼 인구의 증가와 출산율 감소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2000년 26.5세였던 여성의 평균 초혼 나이는 2018년 30.4세로 높아졌고, 1990년 1.57명이던 합계출산율은 2018년 0.98명으로 처음으로 1명 미만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오늘 소개할 김이선·박경숙(2019)의 연구는 이러한 현상의 배경으로 취업이나 결혼·출산에서 여성이 겪는 어려움에 주목해 2016년 한국 여성의 생애 유형을 분석하였습니다. 본 연구는 오늘날 더보기…

글쓴이 KIRN,

불평등 연구의 새로운 접근

2020년 1월 월례발표회 신광영(중앙대 사회학과 교수) 세계화와 기술발전, 저출산과 고령화, 1인가구의 증가 등 여러 변화를 겪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 기존 사회학 연구 틀만으로는 계층·계급 불평등을 분석하는 데 한계가 있음을 논하였습니다. 그 대표적 예로 한국의 계층·계급 불평등 연구에서 ‘취업자 개인 소득’이 주요 분석대상이 되어 온 점을 지적합니다. 불평등 정도가 소득보다 높은 ‘자산’에 대해서는 더보기…

글쓴이 KIRN,

[INQ] 부모의 자산이 청년들의 사회인식에 영향을 미칠까?

‘흙수저’, ‘금수저’, ‘다이아몬드 수저’와 같은 말이 최근 우리나라에서 보편적인 용어로 자리잡은 듯합니다. 언론을 통해 이런 표현이 널리 확산되면서 한때는 생소했던 용어가 더는 설명이 필요 없는 말이 되었습니다. 이는 이른바 ‘수저계급론’이 우리 사회에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는 방증일 수 있습니다. 실제로 부모의 경제적 지위가 자신의 인생을 결정한다는 공감대는 청년을 대상으로 한 여러 더보기…

글쓴이 KI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