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대 간 지역이동 및 사회이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2024년 4월 월례발표회 이근복 (경기연구원 인구영향평가센터 연구위원) 최근 한국 사회가 더 이상 부모 세대보다 나은 사회경제적 성취를 이루기 힘든 사회라는 인식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기회의 불평등이 고착되고 부모의 지원 없이는 성공하기 힘들다는 자괴감과 무력감은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를 낮출 수 있는데요. 이렇게 부모와 자녀 세대에 걸친 세대 간 사회이동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더보기…

글쓴이 KIRN,

세대 간 시간 자원의 이전은 불평등한가? 부모가 성인 자녀의 자녀 보육에 제공하는 지원의 가족 내, 가족 간 불평등 분석

2024년 3월 월례발표회 인 정 (덴마크 코펜하겐대학교 사회학과 박사후연구원) 젊은 세대의 맞벌이 증가에 따라 발생하는 보육의 공백을 조부모가 상당 부분 메우는 현상은 전 세계적으로 관찰되며, 이러한 부모의 지원은 성인 자녀의 주요 생애 사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성인 자녀에 대한 부모의 시간 지원의 중요성과 이 자원의 유한성은 가족 내 더보기…

글쓴이 KIRN,

생애 초기 교육의 확대와 교육불평등 간의 관계 분석: PISA 2015 학부모 설문의 활용

2024년 2월 월례발표회 전하람 (전남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이 연구는 생애 초기 교육 기회의 격차가 이후의 교육 불평등에 가지는 함의를 논의하기 위해 유치원 교육 경험 여부 및 교육 기관 유형과 가정배경, 학업성취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영유아 보육 및 교육 경험에 관련된 상세한 정보를 담고 있는 PISA (OECD’s Programme for 더보기…

글쓴이 KIRN,

가족에 대한 동몽이상: 전통적 가족 규범과 가족해체의 계층별 추세 분석

2023년 5월 월례발표회 임영신(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선임연구원)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 한국 사회의 가족해체 양상이 계층과 가족 규범에 따라 어떻게 바뀌어 왔는지 살펴보았습니다. 통계청 ‘사회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가족해체를 경험한 응답자의 비율이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집단을 중심으로 최근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집단에서는 전통적 가족 규범을 가진 사람들조차 이혼이나 더보기…

글쓴이 KIRN,

가구소득 수준과 유배우 출산율, 2000-2021

2023년 4월 월례발표회 계봉오(국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이 연구는 초저출산 상황에서 소득과 출산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 틀을 모색하고 경험적 분석을 통해서 그 함의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출산력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2000년 이후 한국의 가구소득 수준에 따른 유배우 출산율 및 추가출산의향 변화를 분석했는데요, 특히 결혼시기 지연에 따른 템포 효과의 더보기…

글쓴이 KI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