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대 간 사회이동성이 가족구성과 출산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 사례

2025년 9월 월례발표회 이도훈 (서울대) 세대 간 사회이동성은 가족구성과 출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까요? 본 연구는 (1) 상대적 사회이동성과 절대적 사회이동성을 구분하고; (2) 세대 간 사회이동성을 개인 수준의 경험을 넘어서는 사회적 맥락의 핵심 요인으로 개념화하며; (3) 상대적 사회이동성과 절대적 사회이동성의 역할에 대한 상이한 이론적 관점들을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패널 더보기…

글쓴이 KIRN,

인서울 대학의 임금 프리미엄에 관한 연구

2025년 4월 월례발표회 정호용 (서울대 행정대학원) 한국에서 지속되고 있는 서울 중심 집중 현상 속에서, 본 연구는 초기 노동시장에 진입한 ‘인서울 대학’ 졸업자들의 임금 격차를 분석합니다. 서울 소재 대학 졸업자는 대학수학능력시험(CSAT) 점수 등 개별 학생의 역량을 통제한 이후에도, 지역 소재 대학 졸업자보다 평균 약 8% 높은 임금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격차는 더보기…

글쓴이 KIRN,

증가하는 불이익에서 전략적 적응으로: 아시아계 미국인 남성 사회경제적 지위의 연속진화적 변화, 1940~2018-22

2025년 3월 월례발표회 김창환 (University of Kansas) 아시아계 미국인에 대한 이미지는 동화될 수 없는 이방인에서 모델 마이너리티로 변화해 왔으며, 최근 연구는 전략적 적응이 그들의 성공을 이끄는 핵심 메커니즘으로 제안되었습니다. 그러나 전략적 적응의 기원과 발전 과정, 그리고 아시아계 미국인의 사회경제적 지위 변화와의 관계를 탐구한 연구는 많지 않습니다. 본 연구는 전략적 적응 더보기…

글쓴이 KIRN,

세대 간 지역이동 및 사회이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2024년 4월 월례발표회 이근복 (경기연구원 인구영향평가센터 연구위원) 최근 한국 사회가 더 이상 부모 세대보다 나은 사회경제적 성취를 이루기 힘든 사회라는 인식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기회의 불평등이 고착되고 부모의 지원 없이는 성공하기 힘들다는 자괴감과 무력감은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를 낮출 수 있는데요. 이렇게 부모와 자녀 세대에 걸친 세대 간 사회이동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더보기…

글쓴이 KIRN,

개인의 목표추구를 향한 노력과 사회경제적 지위 획득 (Joint Work with Jani Erola)

2023년 2월 월례발표회 권혜원(핀란드 투르쿠대학교 박사후연구원) 최근 연구에 따르면, 미국 사회 내 경제적 불평등의 심화와 세대 간 사회 이동성 감소 추세에도 불구하고 미국 성인들 사이에서 노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능력주의적 믿음(“노력하면 성공한다”)은 더욱 강해지고 있습니다. 많은 사회심리학 문헌들은 사회경제적 지위 획득에 청소년기의 심리적인 자원(학업적 기대나 열망)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더보기…

글쓴이 KI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