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andparenting and Mortality: How Does Race-Ethnicity Matter?

2021년 5월 월례발표회 최승원(Texas Tech Univ. Dept. of Sociology, Anthropology, and Social Work 교수) 본 연구는 미국 ‘Health and Retirement Study’ 자료를 바탕으로 손자녀가 있는 미국 노인의 사망 위험이 그들의 손자녀 돌봄과 어떻게 관련되는지, 그리고 그 연관성이 인종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분석했습니다. 분석 결과, 백인 노인은 3대가 함께 살며 손자녀를 더보기…

글쓴이 KIRN,

고체화된 연대에서 액화된 연대로: Z세대의 유동적 페미니스트 정체성 형성과 탈코르셋 운동

2021년 4월 월례발표회 정고운(경희대 사회학과 교수) 본 연구는 서울 주요 대학에 재학 중인 20대 초반 여성 40명을 인터뷰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젊은 여성들이 ‘탈코르셋 운동’을 통해 여성주의자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해가는 과정을 분석하였습니다. 최근 한국 사회에서는 젊은 여성들이 주축이 되어 여성의 외모에 대한 엄격한 규범에 반대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는데요, ‘탈코르셋 운동’은 이러한 더보기…

글쓴이 KIRN,

한국, 일본, 대만의 세대 간 사회이동: 기술적 접근

2021년 3월 월례발표회 정인관(숭실대 정보사회학과 교수) 한국의 세대 간 사회이동의 변화 양상을 일본, 대만과 비교해 분석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이 세 국가에서 1990년대 초반부터 2010년대 초반까지 수행된 사회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아버지와 자녀 세대의 직업에 기반한 계급이 어떻게 변해왔는지를 연구했습니다. 분석 결과, ‘절대적 세대 간 사회이동’의 경우 한국과 대만, 일본 남성은 하강이동이 늘어나고 더보기…

글쓴이 KIRN,

[신규논문] 가구구조와 소득불평등

김창민, 김은경, 신광영(이상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가구구조가 크게 변하고 있다. 가구 변화가 소득불평등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까? 인구고령화와 가족의 변화(1인 가구의 증가, 맞벌이 가구 증가)가 가구소득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이 논문은 2007년과 2017년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가구 속성(가구형태,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가구원 수, 주당 가구 총근로시간, 부부 총 교육연수)이 더보기…

글쓴이 KIRN,

[신규논문] A New Approach to Social Inequality: Inequality of Income and Wealth in South Korea (사회불평등에 대한 새로운 접근: 한국의 소득 및 재산 불평등)

신광영(중앙대학교 사회학과) 이 논문은 사회적 불평등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제시한다. 기존 사회과학 내 불평등 연구들은 경제활동을 하는 개인을 분석 단위로 하여, 학력과 직업을 중심으로 연구해 왔다. 본 연구는 이런 기존 사회학이나 노동경제학의 불평등 연구 한계를 지적했다. 직업 활동의 결과인 소득과 자산이 사회 불평등 연구 대상으로 다루어져야 하며, 개인이 아니라 가구가 더보기…

글쓴이 KI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