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환기 한국인의 성인 이행 구조 변화: 탈젠더화와 계층화의 상호 강화?

2022년 1월 월례발표회 이상직(국회미래연구원 연구위원) 이 연구는 성인 이행기의 구조 변화를 드러내는 식으로 1998년 경제위기 전후에 본격화된 한국사회 변동의 성격을 검토합니다. 연구 질문은 ‘지난 20년간 한국에서 성인 이행기 구조는 어떻게, 얼마나 변화했는가’입니다. 남녀의 이행 구조는 얼마나 같아지거나 달라졌을까요? 부모의 사회경제적 자원이 생산 및 재생산 영역에서 자녀가 점유하는 위치와 관계 맺는 더보기…

글쓴이 KIRN,

Geography and Social Mobility in the UK (Joint Work with Richard Breen)

2021년 11월 월례발표회 인 정(옥스포드대 박사후연구원) 미국의 조세 자료를 활용하여 지역별 세대 간 사회이동성에 큰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 2014년 Raj Chetty와 공저자들의 연구 결과가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면서 이후 유사한 연구들이 캐나다, 호주, 이탈리아, 스웨덴, 노르웨이 등을 배경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이러한 연구들은 사회이동성에서의 불평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지역화된 관심과 정책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기한다는 더보기…

글쓴이 KIRN,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to Promote Health among Immigrants and Racial/Ethnic Minorities

2021년 10월 월례발표회 장서현(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 건강불평등, 즉 사회집단 간 건강상태 격차의 완화를 위해 그동안 많은 연구가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되어 왔습니다. 본 발표는 이른바 ‘CBPR(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로 불리는 마을공동체 참여연구를 소개하고, CBPR이 기존 연구 방법과 어떻게 다른지 논하였습니다. 또 CBPR을 통해 미국 내 아시아·중남미 이민자들이 겪는 건강불평등 문제(고혈압, 아동비만, 인유두종바이러스)를 더보기…

글쓴이 KIRN,

[신규논문] 코로나19 시기의 소득 불평등, 정서적 불안, 그리고 주관적 건강: 국제 비교 조사를 바탕으로

김현수(Harris Hyun-soo Kim)·김현진(Hyun-jin Katelyn Kim) 코로나19로 인한 피해는 사회적 약자에 더 크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소득과 지위에 따른 건강 불평등은 기존에도 다양한 맥락에서 보고되어 왔다. 그렇다면 코로나19 시기에 특히 코로나19에 취약한 계층이라고 알려져 있는 노년층의 건강은 어떨까? 이 연구에서는 새로운 국제 비교 조사 자료 <Global Behaviors and Perceptions in the 더보기…

글쓴이 KIRN,

[신규논문] 20년간의 세대 간 사회이동 변화: 30-49세 두 남성 코호트 비교 분석

박현준(펜실베니아대 사회학과)·정인관(숭실대 정보사회학과) 21세기 이후 한국에서 부모의 계급 배경과 자녀의 계급 지위 간의 상관성은 어떻게 변했을까? 저자들은 이 연구에서 지난 20년 간 한국의 세대 간 사회이동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살펴보고 있다. 자료의 한계로 인해 비교적 긴 시간적 간격을 지닌 둘 이상의 시기를 비교하기 어렵다는 것이 세대 간 사회이동 연구의 난점 중 더보기…

글쓴이 KI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