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논문] 한국의 세대 내 직업 이동, 1998-2017: 사회이동과 불평등 연구에 젠더화된 생애과정 접근이 주는 함의들

계봉오(국민대)·황선재(충남대)·김지연(UNC-Chapel Hill)·최율(중앙대) 불평등이 증가하면 세대 간 계층이동은 감소할까? 그렇다면 어떤 과정을 통해 그렇게 될까? 유명한 ‘위대한 개츠비 곡선(The Great Gatsby Curve)’에 따르면, 소득 불평등이 심해질수록 세대 간 소득이동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이 관계가 반드시 단순 선형적이거나 일관적이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 불평등과 사회 이동성 사이에서 작동하는 제3의 요인이 있을지도 더보기…

글쓴이 KIRN,

전환기 한국인의 성인 이행 구조 변화: 탈젠더화와 계층화의 상호 강화?

2022년 1월 월례발표회 이상직(국회미래연구원 연구위원) 이 연구는 성인 이행기의 구조 변화를 드러내는 식으로 1998년 경제위기 전후에 본격화된 한국사회 변동의 성격을 검토합니다. 연구 질문은 ‘지난 20년간 한국에서 성인 이행기 구조는 어떻게, 얼마나 변화했는가’입니다. 남녀의 이행 구조는 얼마나 같아지거나 달라졌을까요? 부모의 사회경제적 자원이 생산 및 재생산 영역에서 자녀가 점유하는 위치와 관계 맺는 더보기…

글쓴이 KIRN,

[신규논문] 코로나19 시기의 소득 불평등, 정서적 불안, 그리고 주관적 건강: 국제 비교 조사를 바탕으로

김현수(Harris Hyun-soo Kim)·김현진(Hyun-jin Katelyn Kim) 코로나19로 인한 피해는 사회적 약자에 더 크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소득과 지위에 따른 건강 불평등은 기존에도 다양한 맥락에서 보고되어 왔다. 그렇다면 코로나19 시기에 특히 코로나19에 취약한 계층이라고 알려져 있는 노년층의 건강은 어떨까? 이 연구에서는 새로운 국제 비교 조사 자료 <Global Behaviors and Perceptions in the 더보기…

글쓴이 KIRN,

[신규논문] 20년간의 세대 간 사회이동 변화: 30-49세 두 남성 코호트 비교 분석

박현준(펜실베니아대 사회학과)·정인관(숭실대 정보사회학과) 21세기 이후 한국에서 부모의 계급 배경과 자녀의 계급 지위 간의 상관성은 어떻게 변했을까? 저자들은 이 연구에서 지난 20년 간 한국의 세대 간 사회이동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살펴보고 있다. 자료의 한계로 인해 비교적 긴 시간적 간격을 지닌 둘 이상의 시기를 비교하기 어렵다는 것이 세대 간 사회이동 연구의 난점 중 더보기…

글쓴이 KIRN,

한국에서 교육 기회는 점점 더 불평등해져 왔는가?(II): 가족배경에 따른 자녀 학업성취도 격차의 출생 코호트 추세

2021년 6월 월례발표회 최성수(연세대 사회학과 교수)·임영신(서울대 교육학과 박사과정) 한국 초, 중, 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에서 나타나는 가족배경에 따른 불평등은 그 동안 어떻게 변해왔을까요?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총 11개의 전국적 대표성이 있는 조사자료들을 바탕으로 1950년대 출생자부터 2008년 출생자까지 약 27만여명의 가족배경과 학업성취도 정보를 가진 응답자들을 포괄하는 데이터를 구성했습니다. 한국에서 학업성취도 정보를 담아 더보기…

글쓴이 KI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