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서울 대학의 임금 프리미엄에 관한 연구

2025년 4월 월례발표회 정호용 (서울대 행정대학원) 한국에서 지속되고 있는 서울 중심 집중 현상 속에서, 본 연구는 초기 노동시장에 진입한 ‘인서울 대학’ 졸업자들의 임금 격차를 분석합니다. 서울 소재 대학 졸업자는 대학수학능력시험(CSAT) 점수 등 개별 학생의 역량을 통제한 이후에도, 지역 소재 대학 졸업자보다 평균 약 8% 높은 임금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격차는 더보기…

글쓴이 KIRN,

생애 초기 교육의 확대와 교육불평등 간의 관계 분석: PISA 2015 학부모 설문의 활용

2024년 2월 월례발표회 전하람 (전남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이 연구는 생애 초기 교육 기회의 격차가 이후의 교육 불평등에 가지는 함의를 논의하기 위해 유치원 교육 경험 여부 및 교육 기관 유형과 가정배경, 학업성취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영유아 보육 및 교육 경험에 관련된 상세한 정보를 담고 있는 PISA (OECD’s Programme for 더보기…

글쓴이 KIRN,

초국적 이동성과 코스모폴리탄으로서의 삶: 여자 유학생과 남자 유학생의 차이를 중심으로

2024년 1월 월례발표회 박주연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미국 10개 명문 대학 소속 한국인 학부생 74명과의 심층 면접 결과를 바탕으로, 젠더와 계층이 교차되는 구조가 이들이 초국적 이동성과 코스모폴리탄적 삶을 누리는 데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습니다. 우선, 초국적 가족 배경을 지닌 남학생은 ‘선택에 기반한 삶(choice biographies)’을 추구하며 ‘자아실현적 행위성(agency for becoming)’을 실현하고자 더보기…

글쓴이 KIRN,

누가 교육 혁신가가 되는가?: 대안학교 설립의 구조적 요인에 대한 예비적 탐색

2023년 12월 월례발표회 백경민 (숭실대학교 정보사회학과 교수) 우리나라에서 대안교육은 1990년대 후반부터 시작되었습니다. 대안교육은 기존 교육과 비교해 교육 수요자의 의견을 보다 많이 반영한 다양한 교육과정을, 보다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운영하는 것이 일반적 특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한국에서 대안교육에 대한 연구는 주로 교육학과 정책학에서 대안교육 과정과 성과, 법령 등에 관해 수행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사회학적 더보기…

글쓴이 KIRN,

저출산 추세의 코호트 분석

2022년 6월 월례발표회 황지수(서울대 자유전공학부(경제학) 교수) 본 연구는 여성의 코호트별 분석을 통해 한국 저출산 추세의 양상을 규명하였습니다. 인구주택총조사와 인구동향조사를 이용하여 1950~80년대에 태어난 코호트의 출산 결정 intensive margin(출산 시기, 자녀 수)와 extensive margin(결혼 여부, 출산 여부)를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세 가지 유의한 패턴을 확인하였습니다. 첫 번째, 출산율 저하의 주요 동인이 코호트에 더보기…

글쓴이 KI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