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Big (Male) Fish in a Small Pond? The Gendered Effect of Ability Rank on Adolescent STEM Aspirations under Gender-Math Stereotypes

2021년 9월 월례발표회 김진호(고려대 보건정책관리학부 교수)   여성 청소년은 또래 남성과 비교해 수학 학업능력이 큰 차이가 없음에도 미래에 이른바 ‘STEM’으로 불리는 수학·과학·공학 영역에 종사하기를 희망하는 비율은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수학 학업능력과 자기 평가 오류, 성 역할 규범에 관한 문헌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이러한 성별 격차를 낳는 요인 중 하나로 더보기…

글쓴이 KIRN,

구 사회주의권 국가에서 주거불평등의 사회학적 결과

2021년 8월 월례발표회 서형준(러시아 고등경제대학 사회학과 교수)   본 연구는 주거불평등을 어떻게 개념화·조작화해야 하는지, 주거불평등이 주관적 안녕과 사회적 지지(perceived social support)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구 사회주의권 국가들의 맥락에서 연구하였습니다. 본 연구는 주거불평등을 사회계층의 한 형태라는 측면에서 주거지위(housing status)로 명명하고, 크게 자가보유여부, 재산권, 주거공간, 주거의 질, 주거환경 이렇게 다섯 개의 차원으로 더보기…

글쓴이 KIRN,

[신규논문] 부모와 자녀는 점점 더 따로 살고 있는가? 한국의 세대 간 동거에 대한 분석, 1980-2015

계봉오 (국민대 사회학과), 최율 (중앙대 사회학과) 부모와 자녀의 동거는 영유아나 노인을 누가 어떻게 돌보는가 하는 문제와 긴밀하게 연결된다. 사회가 변화함에 따라 전통적인 가치관이 약해지면서 성인 자녀가 노년의 부모와 동거하는 경우가 줄어들 것이라 예상이 가능하다. 한편 인구학적인 변화를 고려하면 그러한 경향은 상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출산률이 하락하면서 형제, 자매의 수가 감소하고(즉, 더보기…

글쓴이 KIRN,

한국에서 교육 기회는 점점 더 불평등해져 왔는가?(II): 가족배경에 따른 자녀 학업성취도 격차의 출생 코호트 추세

2021년 6월 월례발표회 최성수(연세대 사회학과 교수)·임영신(서울대 교육학과 박사과정) 한국 초, 중, 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에서 나타나는 가족배경에 따른 불평등은 그 동안 어떻게 변해왔을까요?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총 11개의 전국적 대표성이 있는 조사자료들을 바탕으로 1950년대 출생자부터 2008년 출생자까지 약 27만여명의 가족배경과 학업성취도 정보를 가진 응답자들을 포괄하는 데이터를 구성했습니다. 한국에서 학업성취도 정보를 담아 더보기…

글쓴이 KIRN,

Grandparenting and Mortality: How Does Race-Ethnicity Matter?

2021년 5월 월례발표회 최승원(Texas Tech Univ. Dept. of Sociology, Anthropology, and Social Work 교수) 본 연구는 미국 ‘Health and Retirement Study’ 자료를 바탕으로 손자녀가 있는 미국 노인의 사망 위험이 그들의 손자녀 돌봄과 어떻게 관련되는지, 그리고 그 연관성이 인종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분석했습니다. 분석 결과, 백인 노인은 3대가 함께 살며 손자녀를 더보기…

글쓴이 KIRN,